<가장 `돈되는' 말 "I am sorry"><美여론조사기관>
"`미안하다'는 말 많이하는 사람이 소득 더 높아"
(워싱턴=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 "미국에서 가장 돈 되는 말은 `I am sorry(미안합니다)'"
미국에서 `I am sorry'라고 사과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소득이 높다는 `이색'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조그비 인터내셔널은 최근 7천59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오차범위 ±1.1%), 연봉이 10만달러 이상인 고소득자가 연간 2만5천달러 이하의 소득을 올리는 빈곤층보다 2배 정도 사과를 많이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를 의뢰한 온라인 보석판매업체인 `더펄아울렛(The Pearl Outlet)'은 많은 고객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사과하기 위해 진주를 산다는 사실을 알고 이 같은 조사를 의뢰했다고 말했다.
조사에 따르면 `자신이 잘못했다고 느꼈을 때 사과하느냐'는 질문에 연봉을 기준으로 10만달러 이상자 가운데 92%가 `그렇다'고 답변한 반면, 7만5천~10만달러 소득자는 89%, 5만~7만5천달러 소득자는 84%, 3만5천~5만달러 소득자는 72%, 2만5천~3만5천달러 소득자는 76%, 2만5천달러 이하 소득자는 52%만이 `그렇다'고 답변했다.
소득이 높은 사람일수록 사과를 더 많이 한다는 결과가 나온 것.
또 `자신이 잘못한 게 없다고 생각했을 때도 사과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10만달러 이상 소득자 가운데 22%가 `그렇다'고 답변한 반면, 2만5천달러 이하 소득자는 단지 13%만이 `그렇다'고 답변, 10만달러 이상 고소득자가 2만5천달러 이하 빈곤층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사과를 많이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비즈니스 컨설턴트 피터 쇼는 "성공한 사람은 자신의 실수로부터 배우려 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고, 다른 전문가인 마티 넴코는 "고소득자들은 더 총명하고 자신을 더 안전하게 하려는 경향이 있다"면서 "그들은 자신이 잘못했을 때 사과하는 게 자신의 경력에 흠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고소득자일수록 더 많은 사람들을 짓밟거나 무시하기 때문에 더 많이 사과를 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됐다.
더펄아울렛의 테리 셰퍼드 사장은 "고소득자일수록 사전에 허락을 구하는 것보다 사후에 사과하는 게 쉽기 때문에 더 많이 사과를 하고 사전에 허락을 덜 구하는 것"이라면서 "이번 조사의 결론은 많이 벌고 싶으면 `미안하다'고 말하는 법을 배우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결혼한 사람이 싱글이나 이혼자보다 타인과 다투고 난 뒤 두 배 정도 사과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조그비인터내셔널은 밝혔다.
`미안하다'는 말이 성공적인 결혼생활의 비결이라는 점도 아울러 확인된 것이다.
그런데 아고로에서 발견한 글..가려서 합시다ㅎㅎㅎ
"I am sorry" 한마디로 패가망신할 수 있다.
어느 학생이 유학n에 캐나다에서 본인이 차에 치여서 다쳤다며 글을 올렸는데, 누군가가 댓글을 달면서 운전자가 "미안하다"는 위로의 말 한마디 안할 수 있냐고 분개를 하시더군요.
저는 단언컨데 이 분이 캐나다나 미국에 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북미에서 교통 사고때 "I am sorry."라고 한 마디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행동인지 전혀 모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뒤에 "법적으로 ....이러니 승소 하겠다." 하는 충고하는 듯한 얘기를 하는 것을 보고 선무당이 사람을 잡는 정도가 아니라 의대 지망생이 맹장 수술 실습하겠다고 덤비는 그런 무모함이 생각나서 황당하더군요.
아는 척하는 것이 이 정도면 정도가 보통 지나친 것이 아닙니다.
구구단도 못 외우는 사람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아는 척하는 것과 별 다를 바가 없습니다.
북미에서 교통 사고 났을 때 본인이 교통 사고 당사자일 때 자신이 100% 잘못했어도 절대로 "I am sorry "라고 말 해서는 안되는 것은 북미에서 살아가는 사람 들에게 상식중의 상식입니다.
북미에서 교통 사고가 났는데, 당사자 A와 B가 있고 여러 정황에서 미뤄보아 B의 책임이 100% 있다고 결정이 되는 그런 사건이라고 봅시다. A는 전혀 다치지 않았고 B는 상당히 많이 다쳤습니다.
이 때 A가 B에게 "I am sorry."라고 말을 했다고 칩시다. 이 "I am sorry"한마디 때문에 A와 B의 과실 비율이 0: 100 비율로 과실 비율이 판정이 날 것이 50:50으로 판정날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거짓말 같지만, 이 것이 미국과 캐나다에서의 현실입니다.
위의 건으로 돌아가 봅시다. 그럼 A와 B의 전체 손해액 산정이 A 는 약 6000불 B는 약 300만불정도로 산정이 되었다고 합시다. 북미에서는 사람이 다쳤을 때에 손해액 산정시 액수가 엄청 뜁니다. 동시에, 한국 같이 엉터리로 아프다고해서 손해배상 받는 소위 보험 사기류에 대해 처벌도 엄척 엄격하고 보험사도 앉아서 당하지 않습니다. 보통은 injury lawyer를 고용해야 그 액수를 다 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자동차 보험은 보통 100만불 배상책임한도 보험을 가입하므로 A는 100만불 한도 자동차 보험에 가입해 있다고 한다면 B는 50%는 자기 책임이므로 상대측으로부터 150만불을 배상 받아야하는데, 보험사에서는 100만불 한도에서 책임을 지므로 A는 자기 부담으로 50만불을 B에게 배상해 줘야 합니다.
A는 원래 B에게 한마디도 안했으면 내야되지 않아도 되었을 돈 50만불(한국돈 약 4억4천만원정도)을 "I am sorry." 한마디한 것 때문에 내야하게 된 것입니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자동차 보험에 가입이 어려워 집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아주 비싼 보험료를 내도 보험사 들이 받아주지 않겠다고 하게될 수도 있습니다.
북미에서 자동차 보험을 들지 못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굳이 여기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서울 같이 세계적으로 대중 교통이 발달한 곳에서 산다면야 엄청나게 큰 문제라고 하지 않겠지만.....
인터넷에서 기초지식도 없는 분 들이 남에게 충고하려는 모습을 자주 보는데, 인터넷에서 받는 충고 너무 믿지 마시길 바랍니다.
특히 단정적으로 100%....확신..이런 식의 글은 진짜 믿을 게 못되는 것 같습니다.
'화제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치우가 말하는 '나의 어머니' (0) | 2007.09.17 |
---|---|
두 다리 없이 해외출장 척척 ‘똑소리나는 강과장’ (0) | 2007.09.05 |
미국인 감동시킨 역대대통령 명연설 리스트 (0) | 2007.06.14 |
어느 회사원의 사직서/문제점을 찾아라 (0) | 2007.06.11 |
IT맨, 내가 사직서를 쓴 이유/문제점을 찾아라 (0) | 2007.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