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한 62개 초우량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8가지 우수성 중에서도 ‘행동을 중시한다'는 필자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대다수 평범한 기업들은 계획과 실행을 동일시하는 함정에 빠져 있다. 그러나 초우량 기업들은 전략을 수립한 이후에도 실행을 뒤로 미루지 않는다. 오히려 계획 수립에 시간을 낭비하느니 차라리 행동으로 바로 옮기는 실행에 착수한다. 백 마디 거창한 구호보다 솔선수범하는 하나의 실천이 절실한 오늘날의 기업 현실에서 '행동 중시'라는 특징은 그렇게 필자의 뇌리에 각인되었었다................
********************************************************************************************
실행에 대한 3가지 오해
첫째, 실행은 하나의 체계이다.
실행을 비즈니스의 전술적 측면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것이 바로 첫 번째 실수이다. 전술은 실행의 한 부분임이 틀림없지만 그렇다고 실행을 전술과 동일시해서는 곤란하다. 실행은 전략의 토대를 형성하는 개념이다. 조직에서 실행력을 충분히 파악하지 않고서는 결코 훌륭한 전략을 수립할 수 없다. 책임의 완수라는 작은 부분만 생각한다면 실행이라는 말 대신 차라리 처리라든가 해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편이 낫다. 따라서 전술과 실행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실행이란 목적과 방법을 검토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끈기 있게 추진하고 책임 관계를 명확히 하는, 체계적이고 엄격한 프로세스를 말한다. 이 과정에서 비즈니스 환경을 예측하고, 전략을 수행할 부서나 담당자들을 선정하며, 담당자들의 개인 원칙과 조직의 원칙을 조율하고, 결과에 대해 보상하는 등 몇 가지 전제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실행의 핵심은 비즈니스의 3대 프로세스, 즉 인력 프로세스와 전략 프로세스, 운영 프로세스에 있다. 모든 비즈니스 혹은 기업에서는 어떤 식으로든 프로세스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각 프로세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기보다 제각기 따로 움직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업무를 실제로 이행하는 것과 같은 사소한 일들은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비즈니스 리더들이 많다. 이는 리더십을 자의적으로 해석한 결과이다. 이를테면 경영자는 산꼭대기에 앉아 전략을 구상하고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심어 주는 일을 해야 하며, 나머지 잡다한 일들은 하위 관리자들이 알아서 해야 한다는 식이다.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해서든 리더의 지위에 오르려고 열망하는 것도 이 같은 사고방식 때문이다. 손에 흙을 묻히지 않고도 기쁨과 영광을 만끽할 수 있는 자리를 누가 마다하겠는가? 반대로 관리자라는 용어가 경멸적인 뉘앙스로 자리 잡은 시대에 관리자가 꿈이라고 말할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이러한 사고방식은 잘못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심각한 폐해를 조장한다. 리더의 가슴과 영혼이 조직 전반에 깊이 스며 있을 때 비로소 기업의 실행력이 향상된다. 밑그림을 구상하고 투자자들이나 법 제정자들과 조율하는 것이 리더가 맡은 역할의 일부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리더로서 본분을 다했다고 볼 수는 없다. 리더는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비즈니스를 위해 내던져야 한다. 실행력을 높이려면 비즈니스와 인력, 환경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리더이다. 조직에서 실행력을 현실화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가 바로 리더이며, 이를 위해 리더 스스로 먼저 행동하고 사소한 일까지 기꺼이 맡아 처리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좋아요! 이제 우리도 변화를 모색해 봅시다. "리더가 이 한마디를 던진 후에도 조직은 아무런 변화 없이 시간을 그냥 보내는 경우가 허다하다.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 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도 중요하지만, 다른 모든 구성원들이 이 정신을 이해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조직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실천이 없으면 실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행의 체계는 보상 시스템뿐만 아니라 모든 구성원들의 행동 규범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즉, 실행의 체계는 기업 문화의 일부를 형성함으로써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리더들의 행위 수준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처럼 실행은 기업 문화의 일부이며 의미 있는 방향으로 기업 문화를 변화시킬 유일한 대안이다.
******************************************************************************************* 비로소 조직에 기여하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실행은 기업에서 전략과 목표의 일부여야 한다. 실행이란 열망과 결과 사이의 연결고리를 의미한다. 비즈니스 리더에게 주어진 매우 중요한 역할이 바로 이것이다.
실행의 중요성과 방법을 모르는 리더는 아무리 노력해도 저조한 실적만 올릴 뿐이다
===== 이동현 (가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
'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하는 CEO의 5가지 특징 (0) | 2007.01.24 |
---|---|
임원은 임시직원? (0) | 2007.01.24 |
뛰어난 경영자가 되기위하여 (0) | 2007.01.19 |
실패한 CEO들의 3가지 착각 (0) | 2007.01.18 |
강한기업의 토대 (0) | 2007.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