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거나 뼈가 부러진 경우의 처치 |
⼘ 골절
- 골절의 종류
1, 폐쇄 골절 : 손상 뼈의 주위 피부가 찢어지지 않은 골절
2. 개방 골절 : 골절로 피부 표면이 상처가 나거나 깨진 뼈가 피부를 뚫은 경우의 골절로 외부 출혈 뿐 아니라
세균이 살과 깨진 뼈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심각하다.
- 골절이 있음을 의심할 수 있는 경우
1. 변형 : 본래의 상태에 위치하지 않고 짤아지거나, 각이 지거나 사지가 히전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변형상태를 검진할 때에는 반드시 손상 받은 사지와 반대편의 정상적인 사지를 비교해야 한다.
2. 압통 : 그 부위를 부드럽게 압박하면 골절부위에 통증이 있다.
3. 운동제한 : 손상부위를 움직이면 통증을 느끼므로 움직이려 하지 않고 움직임이 어렵거나 제한된다.
4. 부종 및 반상출혈 : 골절부위에서 부어오르거나 피부 밑으로 출혈된 것이 피부색 변화로 보인다
5. 마찰음 : 골절부위에서 골절된 양측 뼈의 면이 맞부딪힐 때 마찰을 감지할 수 있다.
6. 가성 운동 : 관절이 아닌 부위에서 관절처럼 골격의 움직임이 관찰되기도 한다.
- 일반적치료
⼷ 골절환자의 처치 원칙
· 골절 환자를 함부로 옮기거나, 다친 곳을 건드리어 부러진 뼈끝이 신경, 혈관 또는 근
육을 손상시키거나 피부를 뚫어 복잡골절이 되게 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한다.
· 골절 부위에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출혈을 방지하고 부목을 대기 전에 드레싱 먼
저 시행한다.
· 뼈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 억지로 뼈를 안으로 밀어 넣으려 하지말고 , 만약 뼈가 안으
로 다시 들어간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 골절 환자를 가능한 한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환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손으로 지지하
여 더 이상의 이상과 통증을 유발시키지 말아야 하다.
⼷ 부위별 골절 처치
· 척추 골절 : 환자를 움직이지 말고 손으로 머리를 고정하고 감은 옷을 따라 대어 환자
를 지지한다. 모포로 환자를 덮고 의료 지원을 기다린다.
· 팔 골절 : 상처 입은 쪽의 팔을 가슴에 대고 가슴과 팔 지지해준다. 가슴과 팔 사이에
부드러운 헝겊 조각 같은 것을 끼워준다.
· 골반 골절 : 다리를 펴준 채로 환자를 눕히거나 무릎을 구부리는 것이 더 편안하다고 하면 무릎 밑에 담요를 말아서 대준다. 골반 골절 시에는 과다의 출혈로 쇽에 빠질 수 있
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발의 골절
· 환자를 눕히고 구두와 양말을 조심스럽게 벗긴다.
· 아픈 쪽의 발을 들고 발바닥에 헝겊을 대고 부목을 받쳐준 후 고정한다.
·쇄골 골절
· 환자를 앉히고, 손상된 쪽 팔을 가슴을 지나 반대쪽으로 가게 한다.
· 넓은 천으로 다친 쪽 팔을 가슴에 고정시키고 병원으로 이송한다.(삼각건으로 고정)
·골반 골절 : 자동차 사고나 추락 사고로 흔히 발생
·다리를 펴고 등으로 눕도록 돕는다.
·묶어서 다리를 고정하는데 관절 사이에는 패드를 넣는다.
·탈 구
탈구는 관절에서 원래 있던 뼈가 빠져 나가는 것이다. 탈구는 어깨, 팔꿈치, 손가락, 턱
등이 자주 발행한다. 탈구와 골절을 구별하기 힘들때의 처치는 골절과 같은 치료를 한다.
⼷치료 : 베개나 쿠션을 사용하여 부상자를 가장 편한 자세로 유지해 준다. 가능하면 붕
대나 삼각붕대로고정시켜 준다
- 염 좌
관절 주위의 인대나 조직이 갑자기 뒤틀렸을 경우 발행하는 손상으로 예를 들어 걷거나 뛸 동안 발이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뒤틀렸을 경우 발목에서 발생한다. 흔히 삐었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치 료 : 부상자가 가장 편한 자세로 관절을 지탱해주고 손상 받은 부분을 높게 해준다.
찬 얼음으로 부은 것과 통증으로감소 시켜주면 효과적이다. 그리고 골절과 같은
처치로 부목을 대준다.
⼘ 부목법
- 치료
부목은 통증을 감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부러진 뼈끝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근육·신경·혈관이 더 이상 손상되지 않도록 방지 g나다. 따라서 폐쇄골절이 개방골절로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 부목사용 시 원칙 및 주의사항
1. 다친 부위가 보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부목 대기 전에 다친 곳 아래를 만져보아 감각이 있는지, 맥박을 만져 피가 잘 통하는
지, 사지를 움직이게 하여 운동 능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3. 개방된 상처는 부목 대기 전에 깨끗하게 드레싱 해주고 부목은 개방 상처의 반대편에 대
어준다.
4. 부목의 사용 시는 손상 받은 곳의 위·아래의 관절을 함께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5. 골절이나 탈구가 의심되는 곳은 가능한 부목을 대준다.
수지 절단시 대처법 |
손가락 등 몸의 일부가 잘려나가는 경우에는 완전히 떨어져나가는 완전 절단과 아직 신체에 잘라진 부위가 붙어있는 불완전 절단이 있다. 이 때 응급처치와 수술을 위하여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이 있다.
⼘ 절단 부위의 처치
환자를 안정시키고 절단부 상태를 살펴본다.
1. 절단 부위를 직접 압박하고 올려준다. 불완전 절단 시에는 절단 부위와 연결 부위를 같
이 드레싱하고 올려준다.
2. 압박드레싱을 시행한다.
3. 출혈의 정도를 확인하고 지혈이 안 되면 지혈점을 찾아 압박한다.
4. 계속 출혈이 되면 마지막 방법으로 절단 부위 5cm 이내에서 고무줄 등으로 묶어 압박을
시행하며 이 때 압박을 시작한 시각을 기록한다.
⼘ 절단된 신체 부분의 관리
1. 절단된 부위를 생리식염수로 깨끗이 씻은 후에 젖은 멸균 거즈로 싸서 물이 새지 않는
비닐봉투나 플라스틱 용기에 넣는다.
2. 이를 다시 다른 비닐 봉투에 넣고 주위에 물을 채운 후 얼음을 몇 조각 넣는다.
※ 주의점
· 얼음이 직접 절단 피검물에 닿지 않도록 유의한다.
· 드라이아이스는 사용하지 않는다.
· 절단 부위를 직접 물 속에 넣지 않는다.
환자를 옮기는 방법 |
⼘ 환자를 옮길 때 고려 사항
· 구조자가 하고자 하는 일을 환자에게 설명하여 환자가 협조하도록 한다.
· 도움이 가능하면 환자를 혼자 옮기지 않으며 돕는 사람들에게 할 일을 미리 설명하여
각각이 충분히 협조하도록 해야 한다.
· 여러 사람들이 환자를 움직일 때는 한 사람만이 말로 지시해야 한다.
· 환자를 들어서 움직이는 경우 척추 손상에서 보호하기 위해 항상 정확한 이송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구조자 혼자서 환자후송
1. 구조자 둘이서 환자수송
2. 가마태우기
3. 뒤에서 안아들기
· 만약 팔이나 어깨 손상 시는 이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다.
4. 들것에 태우기
5. 담요로 들기
- 담요의 반을 길이로 말아서 평행하게 놓는다.환자를 담요가 있는 반대쪽으로 굴린 후 환
자의 등에 담요말이를 놓는다.
- 환자를 담요 위 반대쪽으로 굴린다. 담요말이를 펴고 환자를 편안히 다시 눕힌다
- 펴진 담요자락을 환자 쪽으로 단단히 다시 감는다. 이것은 운반자가 손잡이로 사용한다.
- 환자의 몸통과 다리쪽에 한편에 2명씩 단반자가 앉아 담요말이를 단단히 잡는다.
- 신호에 맞춰 4명의 운반자가 등을 기울인채 무릎을 피는 동작으로 환자를 들어올린다.
⼘ 들것 옮기기
- 방법
1. 들것의 네 손잡이마다 1명씩 운반자가 선다. 운반자가 3명 뿐일 경우 2명이 머리쪽에 선다.
2. 운반자들의 앉아 손잡이를 잡는다. 신호에 따라 같이 일어나 들것의 평행을 맞춘다.
3. 신호에 따라 보폭을 짧게 하여 것쪽의 발부터 걷기 시작한다.
4. 환자를 내려 놓을 때는 신호에 의하여 정지한다. 신호에 따라 앉고 들것을 땅에 조심스
럽게 내려 놓는다
'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근교 50산 (0) | 2012.08.22 |
---|---|
등산이 골프보다 좋은 이유...!!! (0) | 2012.08.18 |
환자 운반법 (0) | 2012.08.01 |
우리나라에서 걷기 좋은 길 (0) | 2012.07.19 |
7월에 가 볼만한 섬 (0) | 2012.06.30 |